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전기세 감면 신청방법, 신청대상, 소상공인, 다자녀가구 신청 바로가기

by dubae0616 2025. 8. 26.

    [ 목차 ]

 

가계 지출에서 전기요금은 꾸준히 부담되는 고정비입니다.

 

특히 여름철 에어컨 사용이 늘어나면 전기요금 고지서를 받아 들고 한숨 쉬는 가정이 많습니다.

 

 2025년 기준 전기세 감면 신청 방법, 대상자별 혜택, 준비 서류, 주의사항을 확인하시고 혜택을 놓치지 마시기 바랍니다. 


1. 전기세 감면 대상

전기세 감면은 모든 가구가 신청할 수 있는 제도가 아니라, 정부에서 지정한 대상자만 지원가능합니다. 전기세 감면 대상 여부를 지금 확인 하시기 바랍니다. 

 

전기세감면 대상 확인 

① 다자녀 가구
  • 자녀가 3명 이상이고, 만 18세 미만 자녀가 포함되어야 합니다.
  • 혜택: 월 전기요금 30% 할인, 최대 16,000원까지 감면
  • 실제 사례: 월 55,000원 전기요금을 내던 가정이 다자녀 감면을 신청해 약 16,000원을 절약 → 1년이면 19만 원가량 절약 가능

② 장애인·국가유공자·독립유공자
  • 해당 본인 또는 유족 1인에게 적용됩니다.
  • 혜택: 월 16,000원까지 전기요금 할인, 여름철(7~8월)에는 2만 원 한도로 확대
  • 필요 서류: 장애인등록증, 국가유공자 증명서 등 관련 증빙

③ 차상위계층
  • 국민기초생활보장법 등에 따른 차상위계층
  • 혜택: 월 8,000원 할인, 여름철은 10,000원까지
  • 필요 서류: 차상위계층 확인서, 자활근로자 확인서

④ 사회복지시설
  • 경로당, 노인복지관, 아동복지시설 등 공공 성격의 사회복지시설
  • 혜택: 주택용·일반용 전기요금 30% 할인
  • 단, 고급 유흥시설·호화 시설은 감면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 전기세 감면 신청 방법

전기세 감면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 신청 가능하면, 한전 on 홈페이지를 통해 보다 쉽게 전기세 감면을 받으 실 수 있습니다.

전기세 감면 신청하기 

온라인 신청
  1. 한전ON 홈페이지
  2. 모바일 앱 (한전 어플리케이션)
  3. 소상공인 대상 전용 사이트 (소상공인전기요금특별지원.kr)

공통 제출 서류
  • 주민등록등본 (가구 구성 확인)
  • 가족관계증명서 (다자녀 확인)
  • 장애인등록증, 유공자 확인서
  • 차상위계층 증명서

  • 3. 전기세 감면 신청 시 주의사항

    소상공인 특별지원은 현재 종료 되었지만, 상시 지원하니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소상공인 특별지원 종료
      • 2024년 12월 31일로 소상공인 전기요금 특별지원은 마감되었습니다.
      • 현재는 다자녀, 장애인, 차상위계층, 사회복지시설만 신청 가능
    2. 신청일 기준 적용
      • 감면 혜택은 신청한 날부터 계산되어 적용됩니다.
      • 소급 적용 불가, 따라서 하루라도 빨리 신청하는 것이 유리
    3. 여름철 추가 혜택
      • 7~8월에는 할인 한도가 늘어나므로, 꼭 신청해 두면 전기요금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4. 자동 연장 불가
      • 일부 감면 유형은 조건 충족 여부에 따라 재신청이나 조건 확인이 필요합니다.

    4. 실제 활용 사례와 팁

    • 다자녀 가구 A씨: 세 자녀를 둔 4인 가정. 전기세 감면 신청 후 매월 15,000원씩 절약. 1년으로 환산하면 약 18만 원 절감.
    • 장애인 가정 B씨: 장애인등록증 제출 후 월 16,000원 감면 적용. 여름철에는 20,000원 혜택을 받아 냉방 부담을 크게 줄임.
    • 차상위계층 C씨: 주민센터에서 확인서 발급 후 신청. 매달 8,000원씩 1년간 총 96,000원 절약.

    👉 : 신청은 한 번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재확인이 필요합니다. 특히 자녀 나이(만 18세 이상 포함 여부), 복지 자격 유지 여부를 반드시 체크하세요.